알바를 하기 때문에 수입이 일정하지 않아요
(고정적인 건 달에 받는 용돈밖에 없습니다)
아는 분이 이번 달 말까지라고 하고 해당 종신보험을 추천해 줬는데 12년
납부 기간 안에 해지하면 아무 환급형이라는 건 설명 들었고,
설명해 주시기로는 이자율이 높아서 12년 후에 찾을 때는 그냥 적금개념으로 넣어놓기는 좋다고 하더라고요 안 그래도 이때까지 크게 저축해놓은 게 없어서
적금을 들어야 하나 고민하던 찰나에 이런 얘기 들으니까 나쁘지 않은데?라는 생각에 가입할까 하는데
부모님 말로는 혹시나라도 보험 함부로 들지 말고 나중에 직장 가지고 나서 종신보험 하나 들라고 하더라고요
(실비보험은 지금은 엄마가 부담해 주시고 있는 게 하나 있어요)
그분이야 가입시키는 게 목적일 테니 좋은 얘기만 해주셨겠지만
혹시나 이게 이율이 높은 만큼 안 좋은 부분도 있을까요? 제가 용돈도 받고 알바는
하고 있어서 돈을 못 내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 같은데… 그냥 저축성으로는 보험이
안 좋나요?
Answer
우선적으로 안내해 드리는 부분은 제안받으신 부분의 상품은
은행의 예/적금 저축상품이 아닌 보험사의 주계약 사망보험금으로
이뤄진 종신보험을 안내받으신 부분입니다.
12년 납의 납입 기간을 안내받으신듯한데 현재까지 26년 삶을 사시면서
12년의 중장기 은행 예적금 가입해 보신 적은 있으신지 모르겠으나, 은행의 적금
상품이 아닌 보험사 상품으로 12년 장기납입 쉽지 않습니다.
암보험 및 그 외 건강보험도 일반적으로 20년 납으로 가입하는 부분에 있어서
납입 기간이 길어 중도 미납 실효 개인적인 사정 등으로 보험 유지 못해서 손해 보는
경우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필요에 의해서 가입하고자
하시는 게 아닌 상품 권유에 의해서 상세 안내
받지 않은 신 상태에서 종신보험을 저축으로 오인하여 가입은 향후 분명 가입자께
손해 보실 수밖에 없는 점 많은 경험을 토대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구두로만 상품설명을 듣기보다는 종신보험의 가입 제안서 주계약 사망보험금은
얼마로 설정되어 있는지 중간에 해지 시 손실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말씀하신 12년 전후 해지환급금 등 상세 설명 이후 인지 후 선택하셔야 하십니다.
26세 단기나 비 중장기 납입 기간의 사망보험금을 저축으로 가입하기보다는
은행 1-3년 단기 저축으로 목돈 모으는 게 유리하실 것입니다.
-
입장에 맞지 않음
-
은행 우대금리